불법 중국 트롤 어선, 기후 변화, 영세 장인 어업이 원인
하버드 대학교의 로버트 팔버그에 따르면, 서아프리카 연안의 전통 어촌의 평균 어획량은 지난 30년 동안 크게 감소하였다. 코트디부아르에서 나이지리아까지 이어지는 기니만을 따라 어부들은 해변에서 나무 카누를 띄워 정어리, 멸치 같은 작은 원양 어류를 잡아 비공식 지역 시장에서 판매하며 생계를 유지한다. 여러 세대에 걸쳐 이러한 어업이 유지되었지만 1990년대 이후 어획량 감소로 생계가 위태로워졌다. 가나에서는 어업 노력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1993년과 2019년 사이에 소형 원양 어류의 총어획량이 59% 감소하였다. 인기 어종인 밴댕이류의 어획량은 1992년 11만 9,000톤에서 2019년에는 1만 1,834톤으로 감소하였다. 코트디부아르도 2003년과 2020년 사이에 어획량이 거의 40% 감소하는 등 비슷한 어획량 감소가 발생하였다. 어획량의 지속적인 감소는 지역의 가장 가난한 가정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 가나에는 20만 명 이상의 어부가 있으며, 해안 시장에서 생선을 가공하고 판매하는 수천 명의 여성을 포함하여 가치 사슬에 속한 200만 명 이상의 다른 사람들도 현재 위험에 처해 있다. 이미 국제 빈곤선(1인당 하루 2.15달러) 이하로 생활하고 있는 이 지역 사회는 이제 더 큰 소득 손실에 직면해 있다. 하버드대의 팔버그는 기니만의 연안 어업 위기는 기후 변화, 중국의 불법 어업, 너무 많은 영세 어부 등 여러 가지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하고 있다고 한다. 기후 변화의 위협 중 해양 온난화의 위기는 덜 위험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이는 온실가스에 의해 갇힌 추가 열의 약 90%가 바다에서 흡수하고 있어 장기적으로는 더 심각한 기후 위협으로 이어지게 된다. 바닷물이 따뜻해지면 바닷물의 산소가 감소하여 모든 해양 생물이 위협을 받게 되며 어류의 이동을 유발하여 어업에 의존하는 지역 사회에 큰 위협을 제공한다. 물고기는 냉혈동물로 체온을 조절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찬 바다를 찾아 떠나는 것 외에 다른 방법이 없다. 기니만의 적도 해류 온난화가 어획량 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한 연구에 따르면 가나, 코트디부아르, 나이지리아의 최대 어획량은 해양 온난화 제로 시나리오에 비해 금세기 중반까지 50%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에 발표된 또 다른 연구에서도 이러한 전망이 어느 정도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어업이 잘 관리되더라도 기후 변화만으로도 2050년까지 기니의 최대 어획량은 30% 이상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어획량 감소의 두 번째 이유는 중국의 트롤 어선이 그 이유이다. 가나, 나이지리아, 코트디부아르와 같은 국가에서는 외국 트롤 어선이 영해에서 배타적경제수역까지의 조업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은 가나 기업으로 위장하여 현재 가나에서 허가된 저인망 어선의 90% 이상을 소유하고 있다. 중국 어선들은 불법 어업 활동을 통하여 어린 물고기를 잡는 등 어족 자원을 훼손하고 있다. 중국 트롤 어선들은 가나에서 불법 조업으로 때때로 벌금을 부과받지만, 일부는 벌금을 내지 않고 허가를 잃지도 않았다. 생산된 어획량 대부분은 수출되어 가나의 국가 식량 공급에도 기여하지 않아 이해하기 어렵다. 마지막으로 전통적인 서아프리카 어부들은 어족자원감소에 중국 트롤 어선 탓을 하고 싶어 하지만, 카누 어업 활동의 증가도 똑같이 파괴적인 영향을 미쳤다. 현재 서아프리카에는 1950년에 비해 7배나 많은 수의 카누가 원양어업에 종사하고 있다. 오늘날의 카누는 더 큰 그물과 더 많은 선원을 갖추고 있으며, 강력한 선외 모터가 장착된 카누가 많다. 이 지역의 영세 어선의 확장은 급속한 인구 증가와 빈곤한 농업을 피해 해안으로 이주하는 인구의 지속적인 증가에 힘입어 촉진되었다. 1960년부터 2023년까지 가나, 나이지리아, 코트디부아르의 주요 해안 도시는 최소 7배(아크라), 최대 30배(아비장)의 인구 증가를 경험하였다. 해안의 인구 증가는 생선 소비에 대한 상업적 수요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생선을 잡고, 가공하고, 판매하는 데 필요한 추가 노동력을 제공한다. 최근 어획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카누의 수는 계속 증가하여 1990년 가나에는 8,000척의 카누가 있었고 2017년에는 1만 3,650척이 있었다. 어족자원감소로 생계를 위협받는 어촌 지역 사회의 미래를 보장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 출처: Fishretail, 2024년 5월 17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