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 / ENG / RUS
특수
법인
한국원양산업협회
회사소개

원양산업정보&뉴스

대체식품 산업의 위기
프론트유저
2025-06-11 17:44:47

극복과 성장 기회

2050년까지 전 세계 인구가 100억 명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폭발적인 인구 증가로 인하여 세계 식량 수요는 현재 수준에서 두 배 가까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자원은 제약적인 데 반해 동물성 단백질에 대한 전 세계적인 수요는 급격히 증가하며 기존 식품시스템으로는 이와 같은 수요를 충족하기엔 턱없이 부족하다.

이에 세계 인구를 먹여 살릴 만큼의 충분하고 영양가 있는 식량을 생산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으며 그에 대한 해결책으로 대체식품이 급격히 떠오르고 있다.

대체식품은 세계 식량 위기에 대응할 뿐만 아니라 토지, , 에너지 자원을 덜 요구하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온실가스를 줄여 기후 변화 대응에도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소비자의 수용, 비용 효율성 및 생산 규모, 장기적인 건강 및 안전성 문제 등이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기술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와 국제적인 규제 및 표준(지침)의 부재 등도 대체식품 산업의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

식물성 단백질 기반 대체육의 경우 기존 육류와 비교해 맛, 질감 등의 감각적 특성과 영양학적 특성이 다른 경우가 많다. 그리고 대다수 소비자는 곤충 기반 단백질 식품에 대한 혐오감과 배양육에 대한 낯섦이 이들 제품을 피하게 한다.

대체식품으로의 식단 전환이 우리의 건강에 장기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아직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으며,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남아 있다. 소비자 대부분이 이들 제품이 진정으로 건강하고 영양가가 있다고 믿지 못하고 있으며, 식품성 단백질 대체식품이 동물성 단백질 식품보다 염분 함량이 높은 점도 문제가 된다.

이러한 건강에 대한 잠재적 위험 중 알레르기 문제는 특히 우려스럽다. 식물성과 곤충 단백질의 경우 알레르기 유발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종종 항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다. 단백질을 고온으로 가공하면 위험한 화합물이 생성될 수도 있다. 배양육의 경우 배양 과정에서 세포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염증을 일으키는 물질인 히스타민을 방출할 수 있으며, 유전자 변형 세포를 사용하는 경우 안전성도 평가해야 한다.

이러한 위기에도 대체식품의 성장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효과적인 브랜딩과 마케팅 전량으로 대체식품의 이점을 소비자에게 인식시켜 주면, 소비자는 대체식품을 받아들이는 데 거부감은 줄고 수요는 증가하게 될 것이다.

FAO, WHO와 같은 국제기구에서도 대체식품에 대한 국제적인 표준과 지침 마련에 대해 활발히 논의 중이다. 이러한 지침이 마련된다면 대체식품의 성장 속도는 현저히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대체식품 시장은 최근 위축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성장 잠재력은 상당히 크며, 소비자의 수요 증가, 식품 과학기술의 발전, 환경 보호 및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 제고에 힘입어 급격한 발전을 이루어 향후 10년 이내에 세계 소비자의 42%는 동물성 단백질 제품보다 식물성 단백질 제품을 더 선호하게 되어, 전 세계 인구의 46%가 주 2~6회 간 식물성 단백질 식품을 섭취할 전망도 나온다.

 

출처: 세계 식품과 농수산, 20256월호


no 제목 날짜 조회
공지 원양산업 정보&뉴스 제317호 07.09 28
공지 원양산업지 6월호 06.19 100
공지 아르헨 주 정부, IUU 의혹 中 원양선사와 협약 체결 03.19 328
공지 통조림 참치, 강력한 성장 예상 03.13 343
공지 글로벌 수산물 시장의 주요 트렌드 03.13 361
공지 원양산업 정보&뉴스 제257호<특집-국가별 수산업 지원 현황> 05.02 850
1206 07.09 13
1205 07.09 11
1204 07.09 14
1203 07.09 12
1202 07.09 14
1201 07.09 17
1200 07.09 22
1199 07.09 19
1198 07.09 26
1197 07.09 13
1196 07.09 15
1195 07.09 16
1194 07.09 12
1193 07.09 14
1192 07.09 28
1191 07.02 61
1190 07.02 29
1189 07.02 24
1188 07.02 21
1187 07.02 18
 1  2  3  4  5  6  7  8  9  10  Next 61   




(특)한국원양산업협회 / 회장 김 영규
(우:06775) 서울특별시 서초구 논현로 83(양재동) 6층
전화 02-589-1621 / 팩스 02-589-1630 / 📩 kosfa@kosfa.org
COPYRIGHT© 1999~ KOF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