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 / ENG / RUS
특수
법인
한국원양산업협회
회사소개

원양산업정보&뉴스

유엔, 러 제재로 유럽에 생선 제품 부족 경고
관리자
2025-03-05 17:45:39

판가시우스, 맛과 유익한 특성 등 열세로 명태 대체 어려움

유엔 식량기구는 러시아로부터의 생선 수입 전면 금지 조치로 인하여 유럽연합이 생선 제품 부족으로 위협받고 있다고 경고하였다. 반제품 피쉬 스틱과 필렛 공장이 있는 독일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전러시아수산업협회는 유엔식량농업기구(FAO)20252월 세계 생선 시장 검토 내용을 인용하여 러시아산 생선의 EU 수입이 전면 금지되면 피쉬 스틱과 같은 인기 생선 제품이 부족해질 수 있다고 경고하였다.

EU에서 러시아산 생선과 수산물을 가장 많이 수입하는 독일이 이번 사태의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FAO 전문가들은 지적하며 수입 금지 조치로 인해 피쉬 핑거와 같은 인기 수산물이 부족해지고 식품 산업의 일자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라고 경고하였다.

20248, 유럽연합이 러시아에 대한 새로운 제재 조치의 하나로 러시아산 생선 수입 제한을 논의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이러한 금지는 발트해 연안 국가, 특히 리투아니아에서 주장했다고 German Welt는 보도하였다. 작년 말 채택된 EU15차 대러시아 제재 패키지에는 어류가 포함되지 않았고, 20252월에 채택된 16차 제재 패키지에도 어류는 포함되지 않았다.

러시아는 EU 국가에 명태를 공급하는 주요 공급국으로, 특히 독일의 유럽 가공업체들은 러시아산 명태 공급에 의존하고 있다. 독일연방수산업협회의 전무이사 스테판 마이어는 제재로 인해 러시아산 명태 공급이 완전히 중단되면 현재로서는 대체할 방법이 없다라고 지적하였다.

독일과 EU에 명태가 중요한 이유

독일은 세계에서 명태의 주요 최종 소비자 중 하나라고 명태 협회의 알렉세이 부글락 회장은 말하였다. 독일은 유럽에서 가장 인기 있는 반제품 중 하나인 피쉬 핑거와 빵가루를 입힌 필렛을 생산하는 EU 최대의 공장이 있는 국가로, 전통적으로 명태 필렛의 주요 수입국이다. 이 공장에서 생산되는 대부분의 제품은 독일인이 직접 소비하지만, 다른 EU 국가에도 많은 양이 공급된다. 2020~2023년 독일은 연간 13~135,000톤의 명태 필렛을 수입하였는데, 이는 유럽 전체 수입량의 50~55%에 해당한다. 다른 EU 국가와 마찬가지로 중국, 러시아, 미국 3개국에서 명태 필렛을 수입한다.

명태협회에 따르면 2024EU의 명태 필렛 수입량은 17% 감소한 217,300(금액으로는 33% 감소한 62백만 유로)으로 집계되었다. 독일로의 수출은 30% 감소한 95,000(전체 EU 수입량의 약 45%)으로 더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1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이다. 그 이유는 러시아에 대한 제재로 인해 현지 기업의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였기 때문이다."라고 명태협회장은 설명하였다. 지난해부터 EU는 야생 어류에서 생산된 러시아산 명태 필렛을 무관세 관세 할당량에서 제외하였다. 이제 이 제품에는 13.7%의 관세가 부과된다.

명태협회장에 따르면 이러한 상황의 수혜자는 바로 미국이다. “2024년 말, 미국은 명태 필렛의 주요 공급국이 되었다." 그에 따르면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은 50~60%의 점유율로 유럽 시장에 이 제품을 공급하였다. 중국 수출업자들은 냉동 원료로 생산된 필렛을 EU로 수출했지만, 러시아와 미국은 신선한 필렛을 수출하였다. 2022년과 2023년에 러시아는 미국을 대체하고 시장의 27% 이상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2024년에는 수입 관세 도입으로 인하여 상황이 바뀌었다. 중국에서 EU로의 공급량은 142천 톤에서 69,500톤으로 1년 동안 절반으로 감소하였다. 러시아 제품 수입은 202369,500톤 수준을 유지하였다. 반면 미국으로부터의 공급은 1.8배 증가한 77,800톤까지 증가하였다. 이를 통하여 2024년 유럽 명태 필렛 시장에서 36%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할 수 있었다. 러시아와 중국은 각각 32%의 점유율을 기록하였다.

미국산 명태 필렛은 유럽에서 여전히 무관세가 적용되지만 러시아 제품은 제재가 부과되기 전보다 훨씬 더 비싸다라고 전러시아수산업협회장은 지적하였다. “그러나 미국과 러시아는 어획 직후 신선한 생선으로 필렛을 생산할 수 있는 세계 유일의 주요 명태 생산국으로 현지 가공업체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라고 수산업협회장은 설명하였다. 원자재 가격의 상승은 유럽 기업의 재정 상황 악화와 최종 소비자의 제품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 수산업협회장은 러시아에 대한 제재의 유일한 결과는 EU에서 가장 인기 있고 한때 가장 저렴한 생선 종류였던 명태의 가격이 급격히 상승한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부글락 명태협회장은 러시아산 생선 수입이 전면 금지되면 유럽, 특히 독일이 가용 원자재 부족과 생산 공정 재구성이 필요하다는 FAO의 결론에 동의한다. 일반적으로 생선은 유럽 국가에서 식단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설문 조사에 참여한 소비자의 58%는 한 달에 한 번 이상 레스토랑 등에서 어류 및 수산물을 먹는다고 답했으며, 31%는 집에서 같은 빈도로 어류를 먹는다고 답하였다.

FAO는 이번 조사에서 명태와 같은 저서어종 생선을 판가시우스와 같은 다른 생선으로 대체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즈베레프 전러시아수산업협회장은 이 생선은 맛과 건강 측면에서 명태보다 열등하며, 가격도 상승하였다고 지적하였다.

2024년 명태 생산자는 러시아 국내 시장에 대한 공급을 늘렸다. 이러한 유형의 생선 소비량은 연간 1인당 4kg(날생선으로 환산할 경우)으로 2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였다고 명태협회는 보고하였다. Rosstat에 따르면 2023년 러시아인은 1인당 연평균 22.5kg의 생선을 섭취하였다. 명태 소비의 증가는 최소 10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한 어획량 증가와 판촉 캠페인으로 인한 수요 증가의 결과이다.

 

출처: Fishnet, 202534일자


no 제목 날짜 조회
966 03.26 176
965 03.26 172
964 03.26 210
963 03.26 214
962 03.26 166
961 03.26 207
960 03.26 198
959 03.26 171
958 03.26 157
957 03.26 151
956 03.26 160
955 03.26 208
954 03.26 160
953 03.19 182
952 03.19 180
951 03.19 172
950 03.19 217
949 03.19 170
948 03.19 189
947 03.19 188
 1  2  3  4  5  6  7  8  9  10  Next 58   




(특)한국원양산업협회 / 회장 김 영규
(우:06775) 서울특별시 서초구 논현로 83(양재동) 6층
전화 02-589-1621 / 팩스 02-589-1630 / 📩 kosfa@kosfa.org
COPYRIGHT© 1999~ KOFA All Rights Reserved